안녕하세요. 뉴스타파 포럼 입니다.
최광희 2016년 06월 07일
영화평론가
뉴스가 수많은 세상사 가운데 가치 있는 정보를 필터링해 전달한다면, 극장용 다큐멘터리는 경향적으로 정보 위에 '정서'를 얹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사실상 다큐멘터리도 저널리즘의 영역 안에 있지만, 스크린을 통해 관객을 만날 때 '정서'를 놓치게 되면 지루해지기 십상이다. 그렇게 되면 아무리 바르고 옳은 이야기일지라도 관객은 그저 수긍할 뿐, 극장에서 얻은 정보를 세상 밖으로 가지고 나가려 하지 않는다.
뉴스가 부조리한 상황을 전할 때, 우리는 분노한다. 그러나 그 분노는 대개 일회적일 때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뉴스는 구조를 꿰뚫으려는 시각을 통해 이슈에 대한 깊이 있고 통사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데 취약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보완물이 이른바 탐사 저널리즘이고, 지금은 그 명맥만 겨우 유지하고 있는 '피디수첩'이나 '추적 60분'과 같은 프로그램이 한때 위력을 발휘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뉴스타파가 제작하고, MBC 출신의 해고 언론인 최승호 피디가 감독한 극장용 다큐멘터리 <자백>을 보기 전까지만 해도, 나는 이 작품이, 그 창작 주체들이 속했던 관성, 그러니까 제도권 언론의 방법론과 태도에 어느 정도는 종속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음을 '자백'해야겠다.
그러나 그건 그야말로 편견이었음이 곧 드러났다. <자백>의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는 순간, 나는 최승호 감독이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풍성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어도 지금의) TV 매체가 해낼 수 없는 영화적 정서를 고스란히 얹어 놓았음을 알게 되었다.
국정원 간첩 조작 사건을 뉴스를 통해 접할 때 우리는 국가 기관의 기만과 폭력성을 개탄한다. 하지만 뉴스는 그 피해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고통을 당했으며, 그 가해자인 국정원과 검찰 등 국가 기관의 종사자들이 얼마나 파렴치한지까지 보도하지 않는다. 다큐멘터리 <자백>은 바로 그 지점을 파고든다. 그리고 여전히 '간첩' 타령으로 냉전을 공고히 하고 기득권을 지키려는 대한민국의 낯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전한다.
감독 최승호는 영화 속에서 끈질기고도 집요한 취재 현장에 자주 등장한다. 그런데, 그는 이 모든 부조리의 책임자에게 다가가 추궁하면서도 절대 언성을 높이지 않으며, 이 모든 구조적 폐악의 피해자들 앞에서 편리한 연민의 감정을 드러내지도 않는다. 그런데 그 엄격한 저널리스트(또는 다큐멘터리스트)의 모습 자체가 관객들에게 더 강렬한 울림을 안겨줄 것이다. 그는 그저 진실의 순간들을 포착하기 위해 뛰어다닐 뿐이다. 논평은 관객들의 몫으로 남겨둔다.
<자백>은 좋은 다큐멘터리가 가져야 할 태도, 즉 관객들이 스스로 영화가 보여주는 정보를 재구성해 자신의 강력한 정서로 각인시킬 수 있을 만큼의 여백을 남긴다. 이 작품을 통해, 나는 영화를 만드는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어떻게 진실에 다가설 것인가에 대한 끊임 없는 성찰임을 재확인한다. 그런 맥락에서 감히 말하건대, <자백>은 내가 본 가장 뛰어난 한국 다큐멘터리다.